[송곳칼럼] 젠트리피케이션과 투어리스티피케이션...그리고 홋카이도

2017-08-16     최현숙 컨슈머리서치 대표
얼마전 여름 방학을 맞은 딸아이와 일본 홋카이도 여행을 다녀왔다. 덥지도 않고 선선한 날씨 속에서 모처럼 녹음이 울창한 자연과 미세먼지 없는 맑은 하늘을 흠뻑 들이켰다.

개인적으로 홋카이도는 눈 축제가 열리는 겨울이 관광 성수기라고 알고 있었지만 일본 내국인들은 여름에 가장 많이 찾는다고 한다.

습도와 온도가 높지 않아 쾌적한데다 나름대로 독특한 문화와 오염되지 않은 자연을 가꾸고 있어 힐링 관광지로 이름이 높다고 한다.

홋카이도에는 나름 국내에도 많이 알려진 관광지들이 많다. 노보리뱃츠 지옥온천, 운하를 낭만적으로 재생한 오타루, 라벤다 꽃밭으로 유명한 후라노 등에는 관광객들이 넘쳐 났다.

그런데 여행내내 동행한 아이에게 불편한 점이 따라 다녔다. 요즘 한국의 젊은이들이 늘 그러하듯 그 애도 하루 2~3잔의 라떼 냉커피, 그것도 스타oo 브랜드 마시기가 큰 낙인데 일본에 커피점이 거의 없다는 것.

라벤다 꽃밭이 있는 후라노는 물론이고 오타루, 노보리뱃츠 어디나 라벤다 아이스크림, 라벤다 차뿐 커피점은 거의 드물었고 간혹 있다해도 얘가 즐기는 그런 브랜드 커피는 단 한곳도 발견하지 못했다. 심지어 시내에서조차 스타oo 커피점을 단 한군데도 찾지 못해 여행내내 커피를 거의 쫄쫄 굶었다.

다녀와서 일본에 다소 정통한 지인을 만나 딸아이의 여행 애로사항을 토로하며 그 이유를 물었더니 철저한 지방자치제 때문이라는 엉뚱한 답이 돌아왔다. 경제적 질문을 던졌는데 정치적인 답변이 돌아온 셈이다. 지방 정부의 권한이 막강하다보니 지역민의 이익과 권익을 위해 대기업 자본의 무분별한 침투를 강력히 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특산품을 활용해 소규모로 가공 제조하는 그 지역 주민의 생계를 강력히 방어하고 부차적으로 독특한 지역 특색을 더욱 도드라지게 하는 효과도 올리고 있다고 한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관광지는 어떤가? 서울의 인사동 서촌 북촌 삼청동은 물론이고 심지어 관광객이 많이 찾는 깊은 산속의 절 문앞에도 이런 글로벌 커피점이 화려한 네온사인을 뽐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대기업. 대자본가. 글로벌 자본의 침공은 필히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을 낳는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영국의 전통적 중간계급인 젠트리(gentry)에서 파생된 용어 다.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이 쫒겨나는 현상을 말한다.

서촌과 홍대, 가로수길을 비롯 한남동 해방촌 성수동등은 당초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독특한 매력이 있던 곳들이었다, 이런 매력 때문에 찾는 발길이 늘어나자 대자본가나 대기업. 글로벌 기업들이 투자한 스타일리시한 카페나 레스토랑등이 들어서고 부동산 가격과 임대료가 뛰기 시작했다. 결국 그곳에서 장사를 하거나 예술활동을 하면서 동네 문화를 만들던 이들은 높은 임대료를 견디지 못하고 밀려나게 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한번으로 그치지 않는다. 인디문화를 이끌었던 홍대 예술가와 원주민들이 상수동 망원동 성산동 연남동 등으로 옮겨가면서 2차 젠트리피케이션을 다시 일으키는 것이다.

우리나라 유명 관광지들이 일본처럼 자신만의 색깔과 문화를 갖지 못하고 대기업 프랜차이즈 커피점과 식당등으로 획일화돼가는 것도 젠트리피케이션이 낳은 또 다른 폐단이다.

젠트리피케이션과 함께 최근에는 투어리스피케이션(touristification)이 또 다른 이슈를 불러오고 있다.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은 관광지가 되어간다는 'Touristify(투어리스티파이)'와 지역 상업화로 주민들이 밀려난다는 ‘Gentrification(젠트리피케이션)’의 합성어다. 지역내 관광이 활성화되면서 주민이 쫒겨 나거나 이주해야 하는 현상을 말한다. 물론 여기에는 단순히 상업적인 이유외에 소음. 사생활침해등이 더해지는 점이 젠트리피케이션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미 세계적 관광지인 이탈리아 베네치아 주민들이 “관광객들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진다”며 대형 크루즈선의 입항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는 보도가 있다. 이들은 “관광객들이 베네치아 경제에 도움이 된다기 보다 오물만 두고 간다”고 주장하며 “우리는 관광객을 원치 않는다. 거주권을 보장하라”고 외쳤다. 

베네치아의 하루 관광객은 최대 6만명. 연간으로 따지면 30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베네치아에 방문한다. 이로 인한 집값은 치솟고 도심지는 숙박업소로 가득 찼고 최근에는 에어비앤비 등 숙소 공유 서비스가 유행하면서 현지인이 거주하는 지역까지 관광객이 몰려들고 있다고 한다.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는 바람에 주민들은 집을 사는 것은 고사하고 장기 임대도 불가능한 지경이어서 실제 1960년 12만 명에 육박하던 베네치아 거주민은 2016년 5만 5천명으로 급격히 줄었다. 관광수입보다 집값과 생활물가가 더 빠르게 오른 탓이다.

베네치아뿐 아니라 역시 세계적인 관광지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도 관광객 거부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물가가 오르고 임대료가 뛰면서 삶의 터전이 사라지고 있는데 대한 반감이다. 청년들이 관광버스 타이어에 구멍을 내고 관광객들이 사용하는 공공자전거를 훼손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신들의 입장을 웅변하고 있다.

베네치아와 바르셀로나 뿐 아니라 스위스 루체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도 이러한 투어리스티피케이션 바람이 점차 거세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북촌한옥마을 이화동 벽화마을 등이 똑같은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보도가 속속 전해지고 있다.

필자의 어릴 적만 해도 관광은 가장 친환경적인 외화벌이로 인식되며 관광객이 몰리는 나라의 조상들을 부러워했었다. 한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이 자동차 한 대 수출하는거 보다 낫다는 등의 비유도 많았다. 조상덕에 가만히 앉아서 관광수입이나 올리는 유럽 여러 나라들이 얼마나 부러웠는지...

그러나 세태와 세상은 바뀌었고 관광산업도 점차 환경에 부담을 주는 천덕꾸러기가 돼 가고 있다. 앞으로 이같은 추세는 더욱 심화될 기세다.

홋카이도 식의 솔루션을 한번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다. 소비자들의 선호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대기업 대자본을 끌여 들여 부동산 시세만 올리고 그렇고 그런 천편일률적 관광지를 만드는 전통적인 관광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꿔야할 시점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