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수원에 사는 이 모(여)씨는 얼마 전 카쉐어링 서비스를 신청했다. 시간에 맞춰 렌트장소로 갔지만 차량이 없어 고객센터에서 알려준 새로운 장소로 이동해야했다. 하지만 새로운 장소에 있던 차는 키가 부러져있었고 차량 내부상태도 엉망이었다. 기분은 나빴지만 시간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차를 몰게 된 이 씨. 하지만 km당 요금이 추가되는 것을 몰라 1박2일 렌트 요금을 12만 원이나 내야 했다. 이 씨는 "저렴하다고 사용했는데 최악의 서비스를 받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단기간 저렴한 가격으로 차량을 빌릴 수 있어 주목받은 '카쉐어링 서비스'가 차량 관리체계에 문제를 드러내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카쉐어링이 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다보니 신속한 차량 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영업소에서 직접 차량을 빌려 이용시간에 제한이 있는 렌터카와 달리 카쉐어링은 최소 30분 단위로, 무인 대여시스템을 갖춰 언제 어디서든지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국내에서는 2011년 10월 KT렌탈(대표 표현명)이 최초로 카쉐어링 서비스 '그린카'를 개시했고 현재는 그린카와 쏘카(대표 김지만)가 양강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현대캐피탈(대표 정태영) 등 렌터카 상위업체들도 속속 카쉐어링 사업에 진출하면서 시장도 커지고 있다.
◆ 무인으로 운영돼 실시간 점검 어려워, 일부 비양심 이용자도 문제
카쉐어링은 인터넷 혹은 스마트폰 앱으로 가입하면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전국 곳곳에 위치한 지정 주차공간을 찾아가 차량을 이용 후 반납하면 된다.
무인이다보니 체계적 관리가 어려워 각 업체들은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이용자가 차량 관리를 소홀히 했을 경우 벌금 및 이용정지 등 페널티를 부과하고 있다.
반납시간 지연 시 1~5만 원, 차내 흡연 시 10만 원으로 이용요금 대비 벌금은 비싼편이며 반납 시 차량내부 상태가 불량하면 벌금을 물리는 곳도 있다. 차량사고나 이상 발생시에도 즉시 신고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하지만 공유상품 특성 상 이용자의 양심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보니 에티켓이 지켜지지 않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공유 상품이라는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일부 이용자들의 비양심적인 사용 태도와 국내시장에 아직 완벽히 적용되지 못한 '공유형 상품'이라는 속성이 맞물리면서 그 피해는 온전히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 정기점검은 평균 일주일에 1번, 운영사·이용자 모두 개선 필요
결국 운영사에서 차량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하는데 무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실시간 관리는 불가능하다. 대신 각 업체들은 평균 일주일에 한 번씩 직접 차량관리를 하고 있다.
KT렌탈 그린카는 4일에 한 번, 쏘카는 7~10일에 한 번씩 육안 점검을 실시하고 경정비 수준의 점검은 보통 한 달의 한 번 정도 실시한다.
쏘카 관계자는 "정기적인 관리는 일주일에 한 번이지만 고객 불만사항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출동해 점검한다"면서 "장기적으로 고객 이력관리를 통해 불량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용제한 조치를 내리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기점검 기간 사이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관리 상태가 불량하더라도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신고하지 않는 이상 문제를 안고 운영을 할 수 밖에 없다.
KT렌탈 관계자는 "카쉐어링은 저렴하게 출시하는 상품이고 짧은 시간에도 많은 이용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원활한 이용을 위해서는 운영사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컨슈머리서치 최현숙 소장은 "이용자들끼리 차량을 공유해야하기 때문에 카쉐어링에서는 이용자 간 배려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다만 제도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운영업체에서도 지속적인 사후관리 및 감독이 철저히 이뤄져야한다"고 조언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