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대표 최길선)이 원자재 매입가격으로 정확하지 않은 가격을 공시에 기재하며 사실상 허위공시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올해 3분기(누적) 주요 원자재 매입가격으로 후판을 톤당 111만 원에 구매했다고 기재했다.
지난 2015년에도 후판 구매가격은 톤당 111만 원으로 적었고 2014년, 2013년에도 역시 111만 원이었다. 그동안 철강시장에서 가격변화가 있었음에도 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채 4년 동안 동일한 가격을 기재한 것이다.
심지어 현대중공업의 후판매입가격은 동종업체인 삼성중공업이나 대우조선해양의 2배 수준이어서 비용부풀리기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마저 들게 한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은 포스코의 공장도 출하가격 베이스(공시가격) 기준이라고 설명을 붙여놨다. 하지만 포스코는 공장도 가격발표제를 지난 2012년부터 아예 폐지했기 때문에 이 또한 설득력을 갖지 못한다.
철강재 가격은 90년대 초까지 정부 고시가격으로 운영돼왔다. 정부 고시가격이 폐지되면서 철강사들이 베이스가격(리스트가격)을 제시해왔다. 이러한 베이스가격은 2012년부터 폐지됐다. 시장수급 악영향과 가격저가 지연, 최종 수요가와 갈등이 심화되는 것이 가격발표제도의 폐지배경이었다.
이후 포스코는 고객사별로 다른 가격을 적용하고, 글로벌 철강가격에 발맞춰 그때그때 가격조정을 하는 것으로 가격제도를 바꿨다. 보다 탄력적으로 가격조정이 가능한 대신 개별고객에 대한 포스코의 정확한 판매가격은 해당 판매부서와 구매업체의 구매부서가 아닌 한 파악하기 힘들어졌다.
즉, 현대중공업이 기재한 111만 원은 지난 2012년도에 베이스가격 제도가 폐지됐을 당시의 가격을 그대로 공시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중공업(대표 박대영)과 대우조선해양(대표 정성립)이 시세가 반영된 정확한 가격을 공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된다.
삼성중공업은 후판가격으로 도쿄스틸 공시가격 기준을 기재하고 있다. 2016년 3분기 62만5천 원, 2015년 54만3천 원, 2014년 64만7천 원으로 시세와 가깝다.
대우조선해양은 실제 국내제철소 매입가격 평균을 내서 사실상 가장 정확한 정보를 기재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후판 매입가격을 올 3분기(누적) 51만5천 원, 2015년 54만5천 원, 2014년 65만 원으로 기재했다.
실제 조선사들이 계약했다고 알려진 가격과 가장 비슷하다. 공시대로만 본다면 현대중공업은 올 3분기 대우조선해양보다 후판을 무려 50만5천 원 비싸게 주고 산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이 공시에 적어놓은 원자재 매입가격의 경우 허위기재에 가깝다고 지적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은 2012년 포스코가 가격발표 폐지됐을 때의 후판가격 그대로 기재하며 사실과 완전히 틀린 허위기재를 하고 있다"며 "적어도 타사들처럼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현실성있는 가격을 기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