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비은행 포트폴리오 완성이 필요한 하나금융, '보험업 강화'에 나서
상태바
비은행 포트폴리오 완성이 필요한 하나금융, '보험업 강화'에 나서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24.09.02 0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금융지주가 동양생명·ABL생명 인수 관련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며 비은행 포트폴리오 완성 단계에 접어들면서 보험업을 확대해야 하는 하나금융의 발걸음이 바빠졌다.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 등 난제들이 남아있지만 보험 계열사 경쟁력이 약한 하나금융 입장에서는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최종적으로 우리금융 계열사에 편입될 경우 마땅한 보험사 매물이 없어 인수합병을 통한 몸집 불리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하나금융은 보험사 인수와 기존 보험 계열사에 대한 실탄 지원을 통한 자체 경쟁력 강화 등 2가지 방안을 모두 고려하면서 보험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 업권 순위 10위권 밖 하나생명·손보...은행 의존도 80% 하나금융 고민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2019년 지주사 재출범 당시부터 증권·보험 계열사가 없어 은행 수익 의존도가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비은행 포트폴리오가 매우 취약했다. 우리카드와 우리캐피탈이 있지만 업권 내 중하위권으로 업권 내에서도 경쟁력이 약한 곳이었다.

이 때문에 증권과 보험 계열사 인수에 사활을 걸었고 증권업은 한국포스증권과 우리종합금융의 주식교환 방식으로 우리투자증권을 최근 출범시켰다. 이러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패키지 인수로 대형 생보사 탄생을 앞두고 있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통합법인 출범 시 단순 합산 기준 자산규모 6위의 대형 생보사로 거듭나게 된다.

우리금융의 그늘에 가렸지만 하나금융 역시 은행 수익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금융지주사다. 올해 상반기 기준 하나금융의 비은행 순이익 기여도는 19.5%에 그친다. 비은행 수익 기여도가 40%를 육박하는 KB금융과 신한금융의 절반 수준이다. 

하나금융도 비은행 강화를 위해 수 년전부터 하나증권에 대해 수 차례 유상증자를 단행하는 등 대대적인 투자에 나선 바 있다. 그 결과 올해 6월 말 개별 재무제표 기준 하나증권의 자기자본은 약 5조9000억 원으로 업계 6위권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하나증권 외에는 업권 내 경쟁력을 갖춘 비은행 계열사가 없어 하나증권의 실적이 무너지면 비은행 수익 기여도가 크게 하락하는 리스크를 가지고 있다. IB부문 실적 부진으로 지난해 하나증권이 어려움을 겪었을 때 하나금융의 비은행 수익 기여도가 4.7%까지 떨어진 것이 대표적이다. 
 


특히 보험 계열사인 하나생명과 하나손해보험이 업권 내에서 경쟁력이 너무 약한 점이 고민이다. 하나생명의 경우 개별 재무제표 기준 자산규모는 5조9370억 원으로 생보사 중 18위, 보유계약건수는 39만여 건으로 19위에 그친다. 금융지주 계열 생명보험사 중에서 자산과 보유계약건수 모두 최하위다.

지난 2020년 더케이손해보험을 인수한 뒤 출범한 하나손해보험도 마찬가지다. 올해 3월 말 기준 하나손보의 총자산은 1조6061억 원으로 13위, 신계약건수도 17만7530건으로 재보험사를 제외한 15개 손보사 중 13위다. 
 


덩치가 작을 뿐 아니라 수익성도 좋지 않다. 올해 상반기 기준 하나생명은 92억 원 흑자, 하나손해보험은 176억 원 적자를 기록했는데 그나마 흑자를 달성한 하나생명도 전년 동기 대비 29.8% 감소했다.

보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하나금융도 지난해 자산규모 13위인 KDB생명 인수를 위한 실사에도 참여했지만 낮은 자본건전성 문제로 철수한 바 있다. 비은행 M&A에 대한 수요가 있지만 문제는 현재 거론되는 보험사 매물이 롯데손해보험과 MG손해보험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하나금융은 지난 달 하나생명과 하나손해보험을 대상으로 각각 2000억 원, 1000억 원 규모의 주주배정방식 유상증자를 결의하면서 실탄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지만 자산 규모를 감안하면 극적인 변화를 이끌긴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수익성 개선 목적이라면 손보사 인수가 유리하지만 계열사 지원을 통해 경쟁력 강화 가능성을 보고 있는 것 같다"면서 "다만 주주가치 제고 등 자본여력 관련 이슈들도 있어 대형 M&A가 녹록치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