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이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항공사 10곳의 국내‧국제선 평균 지연율은 25.7%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항공기가 계획된 운영 스케줄보다 15분 이상 넘기고 게이트에서 출발 또는 도착하면 지연으로 집계한다.
지난해 67만8489편의 항공편 중 17만4078편이 지연 처리됐다 국내선 37만306편 중 8만214편(22.2%)과 국제선 30만8183편 중 9만1864편(29.8%)이다.
작년 연간 지연율은 전년 동기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국내선은 1.5%포인트 하락했으나, 국제선이 6.5%포인트 오르면서 전체 지연율이 상승했다.
이에 국토부는 “국제선 운항량이 늘고 난기류 현상이 잦아진 탓”이라고 설명했다.
![](/news/photo/202502/725758_291138_1957.jpg)
지난해 항공사별 지연율은 국제선에서는 ▷에어서울 46.6% ▷이스타항공 38% ▷진에어 35.4% 순으로 높았다. 국제선 지연율이 가장 낮은 곳은 에어부산으로 17.3%에 그쳤다.
국내선 지연율은 ▷티웨이항공 31.3% ▷에어서울 31% 순이었다. 국내선 중 지연율이 가장 낮은 곳은 아시아나항공(17.2%)이다.
지연 원인이 ‘정비’인 항공편은 총 4648편이었다. 지연율은 0.7%로, 전년 동기 대비 0.1%포인트 올랐다.
연간 지연율은 에어프레미아가 2.7%로 국내 항공사 중 가장 높았다. 이어 티웨이항공이 1.1%, 에어부산이 0.91%, 제주항공이 0.89%로 뒤를 이었다.
작년 상반기 정비 지연율은 ▷에어프레미아(2.5%) ▷제주항공(1.0%) ▷에어서울(0.9%) ▷티웨이항공(0.8%) ▷에어부산(0.7%) 순으로 높았다. 하반기는 ▷에어프레미아(2.9%) ▷티웨이항공(1.4%) ▷에어부산(1.1%) ▷이스타항공(0.9%) ▷제주항공(0.8%) 등이었다.
안태준 의원은 “항공 수요 증가세 속에서도 승객과의 약속인 정시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기체 정비가 필요한 상황에 따른 지연이 발생했다면 더욱 철저한 점검을 통해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