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위원장은 이번 IR에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의 주요 추진방향을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불공정거래에 대해 금융투자상품 거래 제한과 임원 선임 제한 등 다양한 제재수단을 도입하는 등 더욱 엄정히 대응해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겠다고 언급했다.
또한 공매도 제도개선은 전산시스템 의무화, 공매도 목적 대차거래의 상환기간 제한 등이 법제화됐으며, 시스템 구축 등 후속조치가 모두 원활히 진행돼 오는 3월 31일부터 차질 없이 시행될 예정임을 밝혔다.
이와 함께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 영문공시 1단계 의무화 등의 개선방안이 이미 시행되고 있음을 안내하면서, 올해는 3월 ATS(대체거래소) 출범, 6월 파생상품 자체 야간시장 개장, 3분기 비상장주식 플랫폼 인가제 도입 등을 통해 자본시장의 유통 플랫폼이 다변화될 것임을 강조했다.
또한 물적분할, 내부자거래, 자사주, 배당 등과 관련해 주주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 개선이 완료, 시행됐고, 국회의 의무공개매수 제도 도입, 합병·분할시 주주 보호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 논의에도 정부가 적극 참여 중임을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해 2월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발표 후 114개 기업(2월 17일 기준)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에 참여하고 있으며, 밸류업 ETF·ETN 상장 등의 후속조치가 원활히 이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기업의 주주환원이 점차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는 등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5월 밸류업 우수기업 표창과 인센티브 제공, 밸류업 세제지원 방안 등도 일관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번 IR에 이어, 28일 모건스탠리 주관 해외 기관투자자 대상 IR에도 참석해 자본시장 관련 주요정책을 설명하고 투자자들과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장에서 참석자들이 이번 IR을 통해 한국 정부의 자본시장 정책 방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정부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됐다고 평가했다"며 "정부와 유관기관은 투자설명회를 지속해 국내·외 투자자의 관심과 투자를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