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서울모빌리티쇼] HD현대, 굴착기 신모델 2종 세계 최초 공개..."건설기계 부문 2030년까지 해외 누적매출 70조 달성"
상태바
[서울모빌리티쇼] HD현대, 굴착기 신모델 2종 세계 최초 공개..."건설기계 부문 2030년까지 해외 누적매출 70조 달성"
  • 양성모 기자 ymaria@csnews.co.kr
  • 승인 2025.04.03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산 킨텍스 1전시장에서 열린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 HD현대가 3일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차세대 신모델 굴착기를 공개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조영철 HD현대사이트솔루션 사장은 건설기계 기업이 모빌리티의 지속과 확장을 위해 해낼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조 사장은 “모빌리티가 인류 이동의 자유를 선사했다면 건설 기계는 인류를 위한 모빌리티의 발전에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할 것”이라며 “노 인프라스트럭쳐, 노 모빌리티 인프라가 없으면 모빌리티는 달릴 수 없다”고 밝혔다.

▲환영사 하고 있는 조영철 HD현대사이트솔루션 사장
▲환영사 하고 있는 조영철 HD현대사이트솔루션 사장
이어 “HD현대는 이번 모빌리티 쇼를 통해 인프라 건설의 혁신 사이트 트랜스포메이션을 향한 우리의 여정에 대해 말씀드리겠다”며 “그 시작은 차세대 신모델”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세계 최초로 공개한 신모델은 건설기계 부문 계열사 HD현대건설기계의 40톤급 ‘현대(HYUNDAI)’ 굴착기 HX400과 HD현대인프라코어의 ‘디벨론(DEVELON)’ 24톤급 굴착기 DX240 등 2종이다. HD현대 전시관 좌·우측에 자리하고 있으며, 굴착기 앞의 마일스톤 테이블에서 터치패널을 조작해 차세대 신모델의 핵심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

조 사장은 “HD현대 건설기계 부문은 지금 공개된 차세대 신모델과 함께 올해부터 2030년까지 해외 누적 수출 45만 대, 해외 누적매출 70조 원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차세대 신모델은 HD현대 건설기계 부문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한데 모아 완성한 주력상품이며, 차세대 신모델을 필두로 국가대표 건설기계 브랜드 ‘현대’와 ‘디벨론’을 글로벌 톱-메이커로도 성장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벨론 DX240
▲디벨론 DX240
▲현대 HX400
▲현대 HX400

차세대 신모델은 전자제어유압시스템(FEH) 등의 첨단 기술이 탑재된 스마트 굴착기이다. △작업 효율을 높이는 스마트 어시스트 △작업장 내 안전을 확보하는 스마트 세이프티 △장비 가능 시간을 극대화하는 스마트 모니터링 등 다양한 기능이 적용됐다. 생산 효율성, 장비 내구성,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갖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신모델은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장비의 이상 여부를 조기에 감지하고 신속한 조치를 하면서 장비의 가동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운전자 친화적인 운전자 인터페이스의 12.8인치 디스플레이와 디지털 키 등을 도입해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차세대 신모델은 감성품질과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트렌드에 맞춰 최신 기술과 인간 중심의 디자인을 결합한 컨셉으로 개발 됐다.

▲이동욱 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이사
▲이동욱 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이사
이동욱 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이사는 스마트 건설 기계에 적용된 신기술을 소개했다.

첫 번째는 머신 가이던스와 머신 컨트롤 기술이다. 이동욱 대표는 “운전자가 목표로 할 수 있는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작업 피로도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는 신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스마트 컨트롤 기술로 초보자도 베테랑과 같은 숙련도의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며 “미래 건설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건설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두 번째는 AI 등 미래 기술적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이다. 이 대표는 “이번 신모델의 또 하나의 특징은 미래 기술로의 확장성”이라며 “소프트웨어를 통한 맞춤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제어 유압 시스템 등이 신모델에 장착됐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는 건설 현장과 운전자의 안전성을 높여줄 스마트세이프티 테크놀로지다. 이 대표는 “건설 현장은 사람과 작업 장치가 혼합되고 작업 사이트가 매번 달라져 사고 예측이 어려운 곳”이라며 “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신기술을 차세대 신모델에 탑재했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