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는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을 두고 일어난 경기도교육청과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원회의 갈등 해소에 나섰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친환경급식이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학생들의 건강을 경제적 효율성으로 따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입찰이 단기적 효율성이 있어 보일 수는 있으나 학교급식의 거버넌스나 시스템이 무너지면 가격을 장담할 수 없어 장기적으로는 이익이 없다”면서 “도, 교육청, 시민단체, 학부모, 도의회까지 지금까지 쌓아온 협치의 인프라를 한순간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도가 예산지원, 예산의 우선순위 조정 등 해결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구매 방식 개선 이유에 대해 도교육청은 교육청 재정 부담 증가와 예산 절감, 독점적 공급 구조 개선을 들었다.
그러나 도교육청 방침 발표 이후 시군급식센터, 생산자단체, 학부모 및 시민단체는 거세게 반발했다.
앞서 임 교육감은 이날 오전 10시30분께 도교육청 기자실을 찾아 도교욱청이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 계약 시 동일 업체와의 수의계약을 연간 5회로 제한한다는 내용을 보류하기로 했다.
강민석 도 대변인은 “도교육청이 제시한 수의계약 5회 제한조치가 현실화되면 그동안 애써 구축한 경기도형 친환경식재료 공급 체계가 무너질 수 있어 김 지사가 팔을 걷고 나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번 교육청의 학교 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변경에 대한 보류가 철회로 바뀔 때까지 끝까지 노력하겠다"며 "먼저 교육청과 긴밀한 논의를 이어가고 의회와 협력을 통해 그리고 필요하다면 시민단체와 연대를 통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