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김동연 지사, “친환경급식 후퇴하는 일 없을 것”...도교육청 급식 식재료 경쟁입찰 전환에 제동
상태바
김동연 지사, “친환경급식 후퇴하는 일 없을 것”...도교육청 급식 식재료 경쟁입찰 전환에 제동
  • 양성모 기자 ymaria@csnews.co.kr
  • 승인 2025.08.07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6일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에게 “도교육청의 지침을 수용할 수 없다”며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개선 조치의 보류를 요청했다.

김동연 지사는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을 두고 일어난 경기도교육청과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원회의 갈등 해소에 나섰다.

▲7일 오전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오른쪽)와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이 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 관련 반대의견 전달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 간담회를 하고 있다.
▲7일 오전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오른쪽)와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이 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 관련 반대의견 전달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 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 지사는 7일 오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열린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지침’ 규탄대회에 함께 해 공동대책위 의견에 대한 지지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후 공동대책위와 도청 집무실에서 면담을 갖고 친환경 농가와 학교, 학부모들과 안정적 학교급식 공급 방안에 대해서 의견을 나눴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친환경급식이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학생들의 건강을 경제적 효율성으로 따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입찰이 단기적 효율성이 있어 보일 수는 있으나 학교급식의 거버넌스나 시스템이 무너지면 가격을 장담할 수 없어 장기적으로는 이익이 없다”면서 “도, 교육청, 시민단체, 학부모, 도의회까지 지금까지 쌓아온 협치의 인프라를 한순간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도가 예산지원, 예산의 우선순위 조정 등 해결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7일 오전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 두번째)와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이 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 관련 반대의견 전달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 간담회를 하고 있다.
▲7일 오전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 두번째)와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이 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 관련 반대의견 전달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 참여단체 대표단 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번 갈등은 도교육청이 지난달 23일 학교 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을 개선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일선 학교에 보내면서 불거졌다. 기존에는 수의계약 형식으로 식재료 구매 계약이 이뤄졌는데 이를 경쟁입찰로 전환하고, 수의계약 횟수를 5회로 제한한다는 내용이었다.

구매 방식 개선 이유에 대해 도교육청은 교육청 재정 부담 증가와 예산 절감, 독점적 공급 구조 개선을 들었다.

그러나 도교육청 방침 발표 이후 시군급식센터, 생산자단체, 학부모 및 시민단체는 거세게 반발했다.

앞서 임 교육감은 이날 오전 10시30분께 도교육청 기자실을 찾아 도교욱청이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 계약 시 동일 업체와의 수의계약을 연간 5회로 제한한다는 내용을 보류하기로 했다.

강민석 도 대변인은 “도교육청이 제시한 수의계약 5회 제한조치가 현실화되면 그동안 애써 구축한 경기도형 친환경식재료 공급 체계가 무너질 수 있어 김 지사가 팔을 걷고 나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번 교육청의 학교 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변경에 대한 보류가 철회로 바뀔 때까지 끝까지 노력하겠다"며 "먼저 교육청과 긴밀한 논의를 이어가고 의회와 협력을 통해 그리고 필요하다면 시민단체와 연대를 통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