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전산사고 예방을 위해 상시감시 강화, 자율시정체계 활성화 등 전자금융사고 대응체계 마련에 나섰다.
금감원은 25일 '자본시장 거래 안정성 제고' 워크숍을 개최하고 자본시장 내 전산사고로 인한 투자자 피해 예방과 시장 불안·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간 증권사에서 발생한 전자금융사고는 총 429건이었다. 2020년 66건에서 지난해 100건으로 증가 추세인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58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한 피해액은 약 263억 원으로 전체 금융권 전자금융사고 피해액(약 295억 원)의 89%를 차지했다.
특히 자기자본 기준 상위 10개사에서 총 202건의 전자금융사고가 발생해 전체 증권사 전자금융사고의 47%를 차지했다.

사고유형별로는 프로그램 오류가 156건(36.4%)으로 가장 많았고 외부요인으로 인한 사고가 133건(31%)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해외주식 거래가 대폭 늘면서 해외 브로커·거래소 장애 등으로 인한 전자금융사고가 증가 추세라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이에 금감원은 금융투자부문의 전자금융사고 현황, 검사·점검결과 등을 토대로 △대규모 전산장애 △IT내부통제 미흡 △고위험군(온라인·리테일 중심 증권사) △사고예방·비상대응 미흡 △신용정보 보호 △전금법 비적용 회사 등 주요 리스크 요인을 선정했다.
이러한 리스크 요인에 맞춰 △상시감시 강화 △신속 정보수집·공유 △IT감사 가이드라인 안착 △자율시정체계 활성화 △고위험사 집중 관리 △적시감사 및 엄정 제재 △소통 및 교육 강화 등 맞춤형 대응수단을 적용할 계획이다.
서재완 금감원 금융투자부문 부원장보는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보다 강화된 IT내부통제 체계 구축·운영을 통해 전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투자업계에 "금융당국은 상시감시 강화, 자율시장체계 활성화, 적시검사 실시 등 대응체계를 마련했다"며 "이번 대응체계의 효과적 이행과 거래 안전성 확보라는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금감원과 유기적으로 협업해달라"고 당부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