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임의 매력 중 하나는 직접 카드를 활용해 공격과 방어를 조작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전략적인 빌드를 구성할 수 있어 기자는 다양한 전투 상황에 맞춰 나만의 전략을 세우는 재미도 느낄 수 있었다.
28일 기자는 스마일게이트가 WDG 스튜디오 홍대에서 개최한 ‘미디어 시연회’에 참여해 개발 중인 신작 ‘카오스 제로 나이트’를 직접 플레이해봤다. 김형석 슈퍼크리에이티브 총괄디렉터는 이날 행사에서 “이번 신작은 모바일 시장에 맞춰서 소프트하고 라이트한 게임 디자인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실제 게임에 접속해서 보니 덱빌딩 시 등장하는 캐릭터가 2~3등신으로 귀엽고 단순해 가볍다는 느낌을 주었다.



카제나는 어두운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기반으로 카오스라는 재앙이 닥쳐 주인공인 함장과 부하들이 똘똘 뭉쳐 괴물들과 싸워나가는 내용이었다. 인게임에서 보스급 몹들은 대부분 인간이 아니었으며 눈이 하나 달리거나 사람의 얼굴을 하면서도 몸통은 짐승인 괴물들이었다. 인게임에서 비록 2D라는 만화형태의 캐릭터 구성을 하고 있었지만 기괴하다는 이미지를 주기에 충분해 보였다.
기자는 함장이라는 자격이 부여돼 부하 중 최고 선임으로 보이는 레노아에게 명령을 내려 전투를 진행한다. 레노아 외에도 오웬, 레이 등 세 명이 덱으로 구성돼 전투에 임한다. 전투 중간 마다 일부 캐릭터들은 정신적으로 피폐해져 현실도피나 침울한 상태가 되버리면 전투능력을 상실해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전투에서는 카드와 행동포인트가 주어지게 된다. 카드에 나와 있는 공격방식과 스킬, 힐링 능력을 활용해 방어하거나 상대편을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 다만 공격 시 카드를 직접 마우스로 클릭한 뒤 뽑아 올려 적에게 드래그해야만 적용된다.


카제나는 밝은 톤을 지향하는 서브컬쳐 게임과는 달리 어두운 다크 판타지를 지향하는 듯 했다. 비슷한 배경의 게임으로 다키스트 던전, 슬레이 더 스파이어 등이 있다. 밝은 분위기를 선호하는 서브컬쳐 팬들의 접근성을 제한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김형석 디렉터는 이날 시연회에서 어두운 배경의 애니메이션이 사실상 인기를 많이 얻고 있으며 최초로 스마일게이트가 다크 판타지풍의 애니메이션을 게임에 구현하는 사례라고 보고 있다.

이어 “스마일게이트가 최초로 시도하는 사례가 아닐까 생각된다”며 “심장을 두근거리게 할 수 있는 만큼의 즐거운 콘텐츠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스마일게이트는 오는 9월 18일 카제나 사전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며 중국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 동시에 론칭할 예정이다. 9월에 있을 도쿄 게임쇼에도 출품해 게임의 세계관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