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콜라, 즉석밥, 햄버거 등 올해 식음료 400품목 가격 인상...장바구니 물가 '적신호'
상태바
콜라, 즉석밥, 햄버거 등 올해 식음료 400품목 가격 인상...장바구니 물가 '적신호'
쌀, 대두 등 원재료 상승+원활치 못한 수급 여파
  • 조윤주 기자 heyatti@csnews.co.kr
  • 승인 2021.03.14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들어 콜라, 즉석밥, 햄버거 등 식음료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어 장바구니 부담이 커지고 있다.

약 3개월간 20여개 업체가 400개가량의 제품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가격이 오를 때마다 고지하는 게 아니어서 슬그머니 인상한 경우까지 감안하면 가격 인상 규모는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인상폭은 몇 백 원에서 천 원을 웃도는 수준이지만 구매빈도가 잦은 상품들이다 보니 물가 상승에 대한 소비자 부담은 높은 편이다.

업계에서는 쌀, 대두, 밀과 같은 원재료 상승 등 요인으로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인데 여전히 수급이 원활하지 못해 올 한해 가격 상승 이슈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4일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 올해 들어 가격 인상 사실이 공개된 품목을 조사한 결과 20여개사의 400여개 제품의 가격이 올랐다. 가격을 내린 제품은 롯데칠성음료의 팜앤홈·칸타타 브랜드 2종에 불과했다.
 

 
생수, 탄산음료 등 음료 관련 카테고리 제품들은 대부분 가격이 올랐다.

한국코카콜라는 편의점용 코카콜라, 씨그램 등 가격을 7% 인상했고 롯데칠성음료도 칠성사이다 등 14개 브랜드를 7% 올렸다. 동아오츠카는 포카리스웨트와 데미소다 등 대표제품을 14% 올리며 가격 인상에 합류했다. 해태htb의 평창수, 갈아만든 배도 8% 비싸졌다.

국내 즉석밥 시장점유율 1위인 CJ제일제당 ‘햇반’도 2월 말부터 17종 가격을 100원(6~7%)가량 인상했다. 오뚜기도 즉석밥인 ‘오뚜기밥’ 가격을 7~9% 올렸고 동원F&B '쎈쿡' 7종도 11% 비싸졌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국내 쌀 생산량이 350만7000톤으로 전년보다 6% 이상 감소하며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입장이다. 오뚜기는 가격인상이 아닌 할인폭 조정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장류와 통조림, 두부 등 필수 먹거리도 가격이 올랐다.

샘표식품은 깻잎 등 통조림 반찬 제품 12종을 평균 35% 인상했으며, 동원F&B도 꽁치, 고등어 통조림 제품 값을 각각 13%, 16% 올렸다. 풀무원도 두부와 콩나물 가격을 10~14% 가량 인상했다.

​​​​햄버거 업체들도 잇따라 가격 인상에 나섰다.

롯데리아가 2월부터 버거 13종을 비롯해 총 25종의 판매가를 평균 1.5% 수준으로 올린 데 이어 맥도날드가 2월25일부터 버거류 11종을 포함해 총 30품목을 최소 100원에서 300원(평균 2.8%) 인상했다. 버거킹은 3월12일부터 버거류 9종을 포함해 총 17종을 평균 1.2% 인상했다.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은 가격 인상에 대해 농산물 등 원재료 가격이 급증했고 인건비 등 제반비용 부담이 가중되며 불가피하게 내린 결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업계 관계자들은 고객 부담을 줄이고자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했고 다양한 할인정책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SPC삼립과 파리바게뜨의 가격을 인상했다. 파리바게뜨는 2년여 만인 2월19일부터 총 660개 품목 중 약 14.4%에 해당하는 95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5.6% 인상했다. SPC삼립의 양산빵 20여 종 가격도 100원~200원씩 비싸졌다. 앞서 지난 1월 CJ푸드빌의 뚜레쥬르도 빵 등 90여 종의 가격을 평균 9% 올렸다.

피자헛과 도미노피자도 각각 주요 제품들을 2.9~14%가량 가격을 올렸다. 

피자헛은 지난 1월 '치즈포켓 엣지’, ‘블랙 알리오 엣지’ 미디엄 사이즈 가격을 600원, 라지 사이즈는 1000원 올렸다. ‘서프라이즈 콤보세트’와 ‘해피 콤보세트’도 1000원씩 인상했다.

도미노피자도 3월5일부터 직화 스테이크 피자 등 피자 4종의 가격이 1000원 더 비싸졌다. 도미노치즈 100g·50g 2종 가격도 각 500원씩 인상됐다.

업계 관계자는 "식품원료로 많이 쓰이는 대두 등 여러 원재료 가격이 세계적으로 안정되지 않고 인상되는 추세가 가격 인상의 가장 큰 요인"이라며 "이외에 부수적으로 인건비 등 비용 상승이 누적되며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조윤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