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예대금리차·이자이익 비중 가장 높은 JB금융, "먼저 매 맞을라" 끙끙
상태바
예대금리차·이자이익 비중 가장 높은 JB금융, "먼저 매 맞을라" 끙끙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23.02.17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과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면서 은행 '이자장사'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JB금융지주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JB금융지주 계열 은행들의 예대금리차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타 금융지주보다 이자이익 비중이 높아 수익 포트폴리오상 당국의 금리인하 압박에 고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지난해 이자이익 비중 96% 달한 JB금융, 예대금리차도 톱

지난해 JB금융지주 연간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19.8% 증가한 1조7401억 원으로 크게 늘었지만 비이자이익은 같은 기간 37.6% 감소한 733억 원에 그쳤다. 

영업이익 대비 이자이익 비중도 지난해 전년 대비 3.5%포인트 상승한 96%를 기록하며 국내 은행계 금융지주 중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금융지주 영업이익 중에서 이자장사로 96%를 벌어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 주요 금융그룹 지난해 영업이익 대비 이자수익 비중
▲ 주요 금융그룹 지난해 영업이익 대비 이자수익 비중

JB금융지주가 전북은행, 광주은행을 계열사로 두면서 은행 이익 비중이 높고 그만큼 의존도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리 상승기에 이자이익이 극대화되면서 은행 수익 비중이 높은 JB금융지주가 수혜를 입은 셈이다. 

그 결과 지난해 JB금융지주 연간 지배주주순이익은 전년 대비 18.6% 증가한 6010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방금융지주 중에서도 DGB금융지주를 제치고 순이익 2위로 올랐다. 

높은 이자수익은 높은 대출금리에서 비롯됐다.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 은행 가계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에서도 전북은행이 5.71%로 가장 높았고 광주은행은 3.88%를 기록해 3번째로 높았다. 두 번째로 높은 토스뱅크는 신용대출을 제외한 개인대출 상품이 없어 앞선 두 은행과 동등 비교가 어렵다. 

반면 다른 지방은행들의 예대금리차는 모두 2% 미만으로 전북은행과 광주은행 대비 2배 이상 낮다. 그만큼 타행 대비 두 은행에서 고금리 대출이 실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당국발 금리인하 압박으로 두 은행이 현재의 대출 포트폴리오를 쉽게 바꾸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예대금리가 가장 높은 전북은행의 경우 이미 수 년전부터 외국인 대출을 비롯해 1금융권에서 취급하지 않는 중저신용자 대출을 선도적으로 도입하는 등 타행과 다른 행보를 보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전북은행의 가계대출 신규취급액 3833억 원 중에서 중저신용자 및 외국인 대출은 886억 원, 서민금융진흥원 대출이 2528억 원으로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9.1%에 달했다.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정책성 대출은 다른 대출 대비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서민금융진흥원, 외국인, 중저신용자 관련 대출을 제외한 가계일반대출 기준 평균금리는 5.17%, 실질 예대금리차도 0.85%p를 기록하며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지난해 상반기 기준 타행에서 대출 취급이 어려운 다중채무자에 대한 대출 취급 비중은 지방은행 중 42%로 금융취약계층 및 금융소외자에 대한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단순히 금리 수준만을 놓고 판단하기 어렵다는 평가도 있다. 오히려 대형 시중은행들이 꺼리는 대출에 대해 1금융권에서 선제적으로 취급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평가를 받아야한다는 주장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금리는 금리인상기 이전에도 높게 받았지만 당시에는 금융취약계층에게 대출을 공급한다며 칭찬 받았던 것을 고려하면 동일한 영업정책에 대해 이중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면서 "JB금융의 경우 자신들이 현실적으로 노려야 할 시장을 명확히 알고 접근한 측면에서는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높은 대출금리와 예대금리차에 대한 비판 여론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마냥 무시하기는 어렵다는 반응도 있다.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면서 예대마진 축소를 강조한 상황에서 중·저신용자 대출 명분을 내세우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다.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예대금리를 낮추기 위해 각 은행들이 대출 정책을 무리하게 바꾸진 못하지만 예대마진이 높은 은행들은 부담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일단 금융당국에서 구체적인 안을 어떻게 만들어오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