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저축은행들 인출 막으려 금리인상, 추가부실우려
상태바
저축은행들 인출 막으려 금리인상, 추가부실우려
  • 김문수 기자 ejw0202@paran.com
  • 승인 2011.02.24 0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명령이 잇따르면서 저축은행들이 앞 다퉈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다. 구조조정에 불안감을 느끼는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 유동성 확보를 위한 나름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

하지만 시중 저축은행들이 잇따라 금리 인상을 감행하면서 일각에서는 "저축은행들이 또다시 감당 못할 고객 유치에 나설경우 부실 저축은행을 더 많이 양산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어 이에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실 저축은행 영업정지 이후 예금인출이 계속되면서 저축은행들이 예금인출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오릭스저축은행은 최근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연 5.0%로 인상하기로 했으며, 모아저축은행은 1년 정기예금을 연 5.1%로 올렸다.

특히 부산․대전 저축은행의 영업 정지 명령 이후 부산에 위치한 우리저축은행, 화승저축은행, 파랑새저축은행은 연 5.5%의 높은 금리를 제시하고 나섰다.

아울러 서울저축은행과 에이스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5.3%, 인성저축은행과 인천저축은행의 예금 금리는 연 5.2%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저축은행이 잇따라 금리를 인상하면서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 직전보다 보다 0.51%포인트 상승한 연 4.82%로 치솟았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뱅크런 사태 때문에 고객이 불안을 느껴 돈을 빼가지 않도록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며 "만기와 기준금리 인상에 발맞춰 금리를 올리는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저축은행들이 잇따라 금리 인상에 뛰어들면서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예대율이 적정 수준(90~100%)을 유지하지 못하는 저축은행들의 경우 부실 가능성과 수익성 하락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부실로 수익을 낼 수 없는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할 경우 이자 손익부담이 가중되면서 운영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며 "부실운영으로 문을 닫을 경우 그 피해는 예금주들에게 돌아간다"고 말했다.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천만 원 이하의 예금은 보호받을 수 있지만 영업이 정지되면 일정기간 돈이 묶일 수 있는데다 지급 받을 경우 번거로운 지급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이어 "금리인상에 치중할게 아니라 고수익 투자자산 비중을 줄이는 등 수익성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 중소서민금융과 관계자는 "예금유치로 인한 이자 손익부담은 저축은행에서 답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고객들은 저축은행 거래시 예금 BIS(국제결제은행기준 자기자본)비율 5% 미만과 유동성 비율 70% 이하, 당기순이익 발생 여부 등 재무 건전성을 따져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김문수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