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이 GDP 10% 차지
상태바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이 GDP 10% 차지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4.09.17 0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현대차·SK·LG4대 그룹이 지난해 창출한 부가가치총액이 총 1402천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10%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4대 그룹이 국내 경제 성장의 10%를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 4개 그룹의 부가가치총액이 500대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0.7%에서 55.2%1년 새 5%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4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부가가치 총액은 전년에 비해 되레 13.5%나 감소해 경제력 쏠림이 심화되고 있다.

 

500대 기업의 부가가치총액은 254조 원으로 국내총생산(1440조 원)6분의 1을 차지했다.

 

17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매출 기준 국내 500대 기업 중 금융감독원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425개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액을 조사한 결과 총 25416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결산월이 변경된 보험·증권 업종은 전년과 비교가 어려워 집계에서 제외했다.

 

이는 같은 기간 GDP 1440조 원(2013년 말 환율 기준)17.6%에 달하는 규모다.

 

전년에 비해서는 경기 부진 탓에 이익이 20조 원 줄고 인건비와 금융비용 부담은 15조 원 더해져 4.8% 감소했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7%에서 1.1%포인트 소폭 낮아졌다.

 

500대 기업의 부가가치는 법인세차감전순이익에 인건비, 감가상각비, 순금융비용, 임차료, 조세공과(법인세 제외) 등 감사보고서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역만을 집계했으며,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인건비가 115조 원(45.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법인세차감전순이익과 감가상각비가 각각 27.6%24.6%였다.

 

그룹별로는 500대 기업에 속한 삼성그룹 19개 계열사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683700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7%에 달했다.

 

2위인 현대차그룹(18개 기업)의 부가가치액도 376400억 원에 달했고 GDP비중은 2.6%였다.

 

LG(14)SK그룹(19)은 각각 193500억 원과 148800억 원으로 3, 4위를 기록했다.

 

4대 그룹이 창출한 부가가치는 총 1402천억 원으로 GDP9.7%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부가가치 총액도 3.7% 증가했으며, 500대 기업 내 비중도 50.7%에서 55.2%로 높아졌다. 이들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부가가치는 1139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5% 크게 줄었다.

 

포스코(11. 79천억 원)와 롯데(16. 75천억 원)7조 원대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5~6위를 기록했고, 이어 KT(5. 61천억 원), 현대중공업(6. 46천억 원), GS(8. 34천억 원), CJ(8. 28천억 원)10’을 차지했다.

 

재계 10위권의 한진(3. 26천억 원)과 한화(6. 19천억 원)KTCJ에 자리를 내주며 11, 13위로 내려 앉았다.

 

이 외 신세계(3. 25천억 원)를 비롯해 금호아시아나(5. 18600억 원), 두산(4. 18천억 원), 대우조선해양(1. 18천억 원), LS(8. 14천억 원), 현대백화점(3. 12천억 원), 영풍(3. 11600억 원), 에쓰-오일(1. 1700억 원), 대림(2. 1200억 원) 등이 1조 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했다.

 

반면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현대엘리베이터, 현대로지스틱스 등 주력 계열사들이 모두 적자를 내며 유일하게 9천억 원의 마이너스 부가가치 기록했다. 동부그룹도 부가가치 창출이 200억 원으로 미미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45조 원으로 가장 많았다. 삼성전자의 GDP비중도 3.1%에 달했다. 현대차가 159천억 원으로 2위였고, 이어 삼성디스플레이(96천억 원)기아자동차(8조 원)SK하이닉스(68천억 원)LG디스플레이(6600억 원)포스코(55천억 원)KT(53천억 원) 순으로 5조 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냈다.

 

대기업 그룹 계열에 속하지 않은 기업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4800억 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37천억 원), 한국전력공사(33700억 원), 한국지엠(26천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은행과 우리은행, 농협은행도 2조 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기록했다.

 

10조 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한 곳은 삼성전자와 현대차뿐이었고, 삼성디스플레이·기아자동차 등 43곳은 1조 원 이상을 기록했다.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STX·팬택·현대상선 등 34곳은 부가가치액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업종별 부가가치 창출 순위는 삼성과 SK·LG의 대표 계열사가 포진한 IT전기전자가(46개 기업) 799천억 원으로 압도적 1위였고, 현대차그룹이 주도한 자동차 및 부품 업종(44)403천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은행(13. 20조 원), 석유화학(48. 19조 원), 유통(30. 148천억 원), 철강(26. 118천억 원), 서비스(27. 115천억 원), 통신(3. 114천억 원) 순이었다.


500대 기업 그룹별 부가가치 창출액

순위

그룹

기업수

부가가치

GDP대비비중

2013

증가율

2012

2013

증감

1

삼성

19

68,365

4.1%

65,674

4.73%

0.13%

2

현대자동차

18

37,643

2.4%

36,760

2.61%

0.03%

3

LG

14

19,352

2.3%

18,915

1.34%

0.01%

4

SK

19

14,878

7.0%

13,904

1.03%

0.06%

5

포스코

11

7,908

-24.6%

10,485

0.55%

-0.19%

6

롯데

16

7,522

-9.2%

8,280

0.52%

-0.06%

7

KT

5

6,126

-18.4%

7,504

0.42%

-0.10%

8

현대중공업

6

4,619

-33.7%

6,962

0.32%

-0.17%

9

GS

8

3,388

-37.9%

5,457

0.23%

-0.15%

10

CJ

8

2,794

4.1%

2,683

0.19%

0.01%

11

한진

3

2,600

-14.0%

3,024

0.18%

-0.03%

12

신세계

3

2,510

17.0%

2,146

0.17%

0.02%

13

한화

6

1,928

1.9%

1,892

0.13%

0.00%

14

금호아시아나

5

1,861

42.1%

1,309

0.13%

0.04%

15

두산

4

1,809

253.4%

512

0.13%

0.09%

16

대우조선해양

1

1,799

5.4%

1,707

0.12%

0.00%

17

LS

8

1,429

-9.2%

1,574

0.10%

-0.01%

18

현대백화점

3

1,194

9.3%

1,093

0.08%

0.01%

19

영풍

3

1,160

-15.3%

1,369

0.08%

-0.02%

20

S-Oil

1

1,066

-30.5%

1,533

0.07%

-0.03%

21

대림

2

1,014

-29.0%

1,429

0.07%

-0.03%

22

효성

1

881

-12.0%

1,001

0.06%

-0.01%

23

코오롱

2

550

-7.2%

593

0.04%

0.00%

24

OCI

2

437

-33.9%

662

0.03%

-0.02%

25

동국제강

2

291

117.3%

134

0.02%

0.01%

26

부영

1

232

0.9%

230

0.02%

0.00%

27

대우건설

1

156

-85.8%

1,104

0.01%

-0.07%

28

동부

5

20

-91.3%

225

0.00%

-0.01%

29

현대

3

-898

-18.6%

-1,103

-

-

30대 그룹

180

192,633

-2.2%

197,056

13.34%

-0.47%

30대 그룹 외

245

61,535

-11.9%

69,862

4.26%

-0.64%

총합계

425

254,168

-4.8%

266,918

17.60%

-1.11%

출처 : CEO스코어 (단위 : 십억 원)

금융감독원 감사보고서 제출기업 및 1년 치 비교 가능한 기업 대상 조사. 금액은 개별 기준

30대 그룹은 500대 기업 내 계열사. 미래에셋그룹은 조사 대상 기업 없어 제외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