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범삼성가 자산 5년간 73%, 범현대가 62% '껑충'
상태바
범삼성가 자산 5년간 73%, 범현대가 62% '껑충'
  • 문지혜 기자 jhmoon@csnews.co.kr
  • 승인 2014.09.25 0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계 10대 패밀리의 지난해 자산이 1240조 원으로 5년 새 430조 원, 53.4%나 불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액도 400조 원으로 50%나 폭증했다.

특히 범 삼성가(이 씨 패밀리)와 범 현대가(정 씨 패밀리)의 자산이 275조원으로 68.3%나 늘어나 10대 가문 전체 증가분의 60%이상을 차지했다. 양 대 가문의 순이익 비중도 66%에서 80%로 치솟았다

 

다만 10대 가문의 순이익은 5년 새 7% 증가에 그쳤고 순이익률은 4%2%포인트 낮아져 외형확장과 달리 내실은 허약했다.

 

25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자산순위 국내 100대 그룹에 포함된 10대 가문의 최근 5년간 자산과 매출·순이익(개별 기준)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총자산은 12446천억 원으로 2009(810조 원)에 비해 53.4%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계열사 수는 820개에서 985개로 20% 늘었다.

 

10대 가문의 자산은 재계의 대표선수라 할 수 있는 100대 그룹의 70.9%에 달하는 규모다. 법인세를 납부하는 국내 46만여개 전체 법인(2012년 기준 3720조 원)과 비교해도 3분의 1 수준이다.

 

한국 재계의 10대 가문은 이병철(범 삼성), 정주영(범 현대), 최종건(SK), 구인회(LG), 신격호(범 롯데), 허만정(GS), 조중훈(범 한진), 김종희(한화), 박승직(두산), 조홍제(범 효성) 등이다. 초기 창업자를 정점으로 대를 이어오면서 그룹을 일군 같은 성 씨를 가문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100대 그룹 중에서는 28개 그룹이 10대 가문에 속했다.

 

이들 10대 가문의 매출도 같은 기간 7966천억 원에서 1193조 원으로 49.8%나 늘었다.

 

10대 가문 중 자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삼성을 비롯한 신세계, CJ, 한솔그룹이 속한 이 씨 패밀리로, 20092226천억 원에서 386조 원으로 73.4%나 증가했다. 삼성그룹 자산이 331조 원으로 5년 간 139조 원 늘어 범 삼성가에서의 비중도 86%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신세계와 CJ가 각각 252천억 원과 241천억 원이었고, 2009년 대비로는 13조 원과 11조 원 증가하며 외형이 2배가량 불었다. 한솔도 43천억 원에서 53천억 원으로 23.2% 늘었다.

 

2위는 범 현대가로 100대 그룹에 현대자동차·현대중공업·현대·현대백화점·KCC·한라·현대산업개발·현대해상화재보험 등 총 8개 집단이 속해있으며 자산은 2924천억 원이었다. 5년 전에 비해서는 61.9% 늘었다.

 

현대차그룹의 자산이 5년 전보다 80조 원 늘어난 181조 원으로 가장 많았고, 정 씨 패밀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5.8%에서 61.9%로 높아졌다. 이어 현대중공업이 584천억 원이었고, 현대(14조 원)현대백화점(12조 원)KCC(87천억 원)한라(85천억 원)현대산업개발(72천억 원)현대해상(27천억 원) 순이었다.

 

이들 삼성과 현대차, 양대 그룹이 10대 가문 내에서 차지하는 자산 비중은 54.6%로 절반을 넘었고, 5년 전 49.8%보다도 4.8%포인트 높아졌다.

 

이어 SK의 최 씨 가문이 145조 원으로 3위에 올랐고, LG·LS·LIG·희성·LF 등 범 LG 구 씨 가문이 1307천억 원으로 4위였다. 5년 전보다 SK58조 원(65.9%), LG가는 30조 원(29.2%) 증가했다.

 

이어 롯데와 농심의 범 롯데 신 씨(964천억 원), GS 허 씨(58조 원), 한진·한진중공업·메리즈금융의 범 한진 조 씨(51조 원), 한화 김 씨(368천억 원), 두산 박 씨((30조 원)가 뒤를 이었다.

 

효성과 한국타이어의 범 효성 조 씨 패밀리는 19조 원으로 범 금호 박 씨 패밀리를 7천억 원 차이로 따돌리고 10대 가문의 말석을 차지했다.

 

5년간 몸집이 가장 많이 불어난 곳은 범 삼성가(73.4%)였고, SK(65.9%)와 범 현대가(61.9%)6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범 효성가도 52.7%로 덩치가 절반 이상 커졌다. 반면 두산은 12%10대 패밀리 중 자산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매출액 규모는 범 삼성가와 범 현대가가 373조 원과 262조 원으로 나란히 1, 2위였고 자산 순위 4위인 범LG160조 원으로 SK(157조 원)를 앞질렀다.

 

GS685천억 원으로 5위였고, 범 롯데가(678천억 원)한화(385천억 원)범 한진가(331천억 원)범 효성가(171천억 원)두산(133천억 원) 순이었다.

 

10대 패밀리의 외형이 5년간 크게 확장된 것과 달리 순이익 규모는 47조 원에서 50조 원으로 6.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순이익률도 20134.2%5년 전보다 1.7%포인트 낮아져 내실은 허약했다.

 

게다가 범 삼성가와 범 현대가가 10대 가문에서 차지하는 순이익 비중이 65.8%에서 79.3%로 크게 높아져 양대 가문이 재계의 이익을 쓸어 담은 셈이 됐다.

 

실제로 범 삼성가와 범 현대가 외 에 SK하이닉스를 인수한 SK(73.2%), 적자에서 6천억 원 흑자로 돌아선 두산, 적자 폭이 줄어든 범 한진가를 제외한 나머지는 5년 전에 비해 순이익이 최고 64%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LG-63.8%, 범 효성가 -55.2%, 범 롯데가 -37.9%, 한화 12.9% 등이었고, 2조 원의 순이익을 냈던 GS는 적자전환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문지혜 기자]


재계 10대 패밀리 2009~2013년 자산 & 실적 추이

자산

순위

구분

그룹

자산

증가율

매출

순이익

증가율

1

범삼성

삼성

331,441

71.9%

333,892

24,150

36.7%

신세계

25,243

102.9%

17,048

688

-1.5%

CJ

24,116

85.2%

17,703

278

-60.2%

한솔

5,261

23.2%

4,252

-16

적자전환

소계

386,062

73.4%

372,895

25,099

31.1%

2

범현대

현대자동차

180,945

79.6%

158,798

14,725

74.7%

현대중공업

58,395

45.3%

60,804

367

-87.1%

현대

13,942

11.8%

11,596

-1,034

적자확대

현대백화점

11,960

74.4%

5,623

715

21.8%

KCC

8,653

-0.6%

4,388

102

-77.1%

한라

8,506

146.0%

6,297

-246

적자전환

현대산업개발

7,248

8.3%

4,497

-206

적자전환

현대해상화재보험

2,735

81.6%

10,129

197

3.9%

소계

292,386

61.9%

262,133

14,619

24.0%

3

SK

SK

145,171

65.9%

156,868

4,547

73.2%

소계

145,171

65.9%

156,868

4,547

73.2%

4

LG

LG

102,052

29.3%

116,468

2,155

-70.6%

LS

20,367

25.9%

26,966

435

-8.0%

LIG

3,596

21.1%

9,940

171

-24.5%

희성

3,069

36.1%

4,904

128

-23.4%

LF

1,576

105.1%

1,621

100

44.5%

소계

130,660

29.2%

159,898

2,989

-63.8%

5

범롯데

롯데

91,630

36.2%

64,825

1,914

-37.7%

농심

3,764

10.7%

3,002

132

-40.9%

소계

95,394

35.0%

67,827

2,046

-37.9%

6

GS

GS

58,082

34.8%

68,477

-143

적자전환

소계

58,082

34.8%

68,477

-143

적자전환

7

범한진

한진

39,522

30.1%

24,766

-925

적자감소

한진중공업

9,025

4.6%

3,113

-196

적자전환

메리츠금융

2,555

84.8%

5,225

216

32.7%

소계

51,102

26.5%

33,104

-904

적자감소

8

한화

한화

36,778

40.4%

38,461

951

-12.9%

소계

36,778

40.4%

38,461

951

-12.9%

9

두산

두산

29,996

12.0%

16,611

585

흑자전환

소계

29,996

12.0%

16,611

585

흑자전환

10

범효성

효성

11,211

22.9%

12,336

-387

적자전환

한국타이어

7,782

134.8%

4,782

681

68.1%

소계

18,993

52.7%

17,118

294

-55.2%

총계

1,244,623

53.4%

1,193,393

50,083

6.6%

출처 : CEO스코어 (단위 : 십억 원)

자산 & 실적은 2013년 개별 재무제표 기준. 증가율은 2009년 대비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