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대한항공, 국산 소형 발사체 상단부 고성능 엔진 개발 착수
상태바
대한항공, 국산 소형 발사체 상단부 고성능 엔진 개발 착수
  • 김강호 기자 pkot123@csnews.co.kr
  • 승인 2022.06.03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항공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소형 발사체 개발역량 지원 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소형 발사체 상단부 고성능 엔진 개발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소형 발사체 개발역량 지원 사업은 2단으로 구성된 소형 우주 발사체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기 위한 사업이다. 2단 발사체의 하단부에는 누리호에 사용된 75톤급 엔진이 장착된다. 대한항공이 개발에 착수한 엔진은 발사체의 상단부에 들어갈 3톤급 엔진이다.

대한항공을 포함해 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민간 기업들이 최초 설계부터 개발 과정 전반을 주도하며 연구 개발 경쟁을 펼친다. 사업 비용은 약 200억 원이며 개발 완료 목표 기한은 오는 2027년이다.
 

▲대한항공이 상단부 엔진 개발에 참여하는 국산 소형 발사체 개발 예상도
▲대한항공이 상단부 엔진 개발에 참여하는 국산 소형 발사체 개발 예상도

대한항공은 엔진 개발 과정에서 엔진 시스템 설계, 조립 및 체계 관리, 시험 인증을 위한 총괄 주관 임무를 수행한다. 대한항공은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누리호 엔진과 추진 분야 전문 업체인 비츠로넥스텍, 한양이엔지, 제노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울대학교, 충북대학교 등 국내 항공우주기업 및 학계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컨소시엄은 액체 로켓 엔진 관련 국내 독자 기술 연구에 집중하는 한편 3D 프린터를 활용한 제조 기술 등 신기술을 적용해 경제성이 높고 성능이 뛰어난 엔진을 개발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지난 2012년 한국 최초의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KSLV-I) 개발 및 조립, 75톤급 엔진과 7톤급 엔진 개발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바 있다. 또한 항공기 체계 종합, 민간 항공기 구조물 개발 사업을 지속 수행하면서 높은 항공 우주 기술 역량을 갖췄다.

현재도 국내 우주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오는 2030년까지 총 2115억 원 규모로 추진 중인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Space Pioneer)’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우주 발사체에 쓰이는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 개발, 발사체 단간 연결 연료 공급 장치(Umbilical·엄빌리칼) 개발, 모바일 발사 패드 개발을 수행하는 한편 우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미래우주교육센터 부산대학교 컨소시엄에 참여해 발사체 탑재용 항공전자 시스템 개발과 공중 발사체 임무 설계를 진행 중이다.

최근 세계 우주산업이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고(故)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 역시 생전 4차례나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인수전에 적극 나서는 등 우주산업에 관심을 보였던 것으로 잘 알려졌다.

이번 소형 발사체 개발역량 지원 사업 참여를 계기로 대한항공은 우주 발사체 관련 핵심 기술 역량을 한층 더 끌어올려 국내 대표 ‘뉴 스페이스'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강호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