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열린 ‘LG AI 토크 콘서트 2025’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LG AI연구원은 국내에서 선도적으로 AI 모델과 서비스를 만들며 지난 5년간 쌓아온 AI 기술력을 기반으로 진화하고 있는 ‘엑사원 생태계’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하겠다"며 "AI 모델 개발을 넘어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통해 범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춰 나가며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LG AI연구원은 이날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ABC'(AI·바이오·클린테크) 사업 구상에 발맞춰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을 기업간거래(B2B) 사업으로 확장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이홍락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 겸 최고AI과학자(CSAI)는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과 정밀의료 특화 모델 ‘엑사원 패스 2.0’을 소개했다.
엑사원 패스 2.0은 질병 진단 시간을 기존 2주에서 1분 이내로 단축 가능한 모델로 의료 분야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행사에서는 멀티모달 모델 엑사원 4.0 VL(Vision Language)도 처음 공개됐다. 이 모델은 복잡한 전문 문서와 이미지·분자 구조식까지 이해하는 능력을 갖췄으며, 메타의 ‘라마4 스카우트’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이 연구원장은 “엑사원 VL이 엑사원의 ‘눈’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정규 AI에이전트그룹장은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과 데이터 파운드리, 온프레미스 솔루션을 소개했다.
챗엑사원은 국가핵심기술 문서를 활용할 수 있는 ISO 인증을 획득했으며, 보안성이 중요한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교육용 라이선스도 확대돼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활용이 가능해졌다.
데이터 파운드리는 고품질 데이터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AI 플랫폼으로 전문가 60명이 3개월간 수행할 작업을 단 하루 만에 끝낼 수 있도록 돕는다.
실증 결과 데이터 생산성은 1000배 이상, 품질은 20% 이상 향상됐다고 연구원 측은 밝혔다.

또한 LG AI연구원은 AI 반도체부터 모델까지 순수 국산 기술로 구성된 엑사원 온프레미스도 선보였다.
이는 외부망과 분리된 독립 환경에서 기업용 AI를 구축할 수 있는 풀스택 솔루션으로 보안이 중요한 기업에 적합하다.
이번 행사에는 협력 파트너도 참여했다.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를 넘어서는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여기서 아르만 사호비치 런던증권거래소 그룹(LSEG) 아태지역 총괄은 엑사원을 활용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 구축 사례를 공유했다.
LG AI연구원은 2020년 12월 설립 이후 독자 기술로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며 국내 AI 경쟁력 강화를 선도해 왔다.
올해는 3월 국내 최초 추론 AI ‘엑사원 딥’에 이어 7월 하이브리드 모델 ‘엑사원 4.0’을 공개하며 기술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LG AI연구원의 엑사원 3.0, 3.5, 딥, 4.0 모델의 총 다운로드 수는 500만 건을 돌파해 국내 AI 기업 중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홍락 연구원장은 “에이전틱 AI는 현실 인식과 행동까지 확장되는 피지컬 AI로 진화할 것”이라며 “현실 환경을 변화시키는 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LG AI연구원은 앞으로도 산업 현장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선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