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전업계 카드사 '체크카드 앓이'.. "은행계엔 못당해"
상태바
전업계 카드사 '체크카드 앓이'.. "은행계엔 못당해"
  • 김문수기자 ejw0202@paran.com
  • 승인 2012.12.20 0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의 체크카드 활성화 정책이 강도를 높여가면서  대기업 계열 전업 카드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상품 판매의 구조적인 문제로  체크카드 이용이 은행계 카드사로만 편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등 대기업 계열 전업 카드사들은 은행과의 제휴를 통해 체크카드 판매를 강화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지난 10월 말 신한은행과 제휴로  '신한은행 삼성체크카드 애니패스포인트카드'를 출시했다. 이어 우리,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경남, 신한, KB, 하나, NH농협 등 7개 주요 은행과 결제계좌 연결 계약을 맺고 체크카드 발급과 관련된 협의를 진행 중이다.

또 다른 전업카드사인 현대카드도 하나은행과 제휴를 통해 '하나은행-현대카드C'를 선보였으며 우리은행, SC은행, 우체국, KDB산업은행과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롯데카드도 산업은행, 하나은행과 제휴해 현금출금이 가능한 'KDB롯데체크카드('12년2월)', '하나은행 롯데 포인트플러스 그란데 체크카드(12년 7월)' 각각 출시했다. 이어  신한은행과 제휴로  17일 부로 자사  체크카드 6종에서 현금출금이 가능토록 상품을 개편했다. 


향후 우리은행, 국민은행 등으로  출금기능 제휴를 확대할 예정이며 결제계좌제휴는 현재 신한, KB등 14개은행과 맺고 있다. 12월말에는 농협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체크카드는 회원이 보유한 제휴 금융기관 계좌의 잔액 한도 내에서 일시불로만 사용이 가능한 카드로 거래승인 시점에 회원 계좌에서 결제 금액이 자동 출금되는 상품이다.

전업계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지원을 업고  시장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체크카드 판매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초부터 지속적으로 은행들과 계좌 이용 수수료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실적은 크게 저조하다.

 

상품 경쟁력 및 판매 채널의 한계와 은행의 계열 카드사 밀어주기에 따른 결과다. 또 소비자들도 자신의 은행계좌가 있는 은행체크카드를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계 카드사의 경우 계열 은행과의 연계를 통해 상품을 쉽게 팔지만  전업계 카드사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

 

올해 초 은행에 지불하는 수수료율을 현행 0.5% 수준에서 0.2%이하 수준으로 인하하기로는 했지만 결제계좌 사용에 따른 수수료 지불로 상품 구성 재원에 차이가 있는데다 상품 판매에도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삼성카드의 9월 누적 체크카드 이용실적은 1조8천881억원이며 롯데카드의 올 3분기 누적 체크카드 이용금액도  4천997억원에 불과했다.    


반면 은행 계열인 KB국민카드의 이용실적은 13조2천436억원으로 삼성카드의 10배에 달한다.  신한카드 역시 9월 말 현재 체크카드 발급수가 1천539만장, 이용실적이 9조8천512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대기업 계열 카드사 관계자는 “정부정책에 맞춰 열심히 준비하고 있지만 은행계 카드사와 경쟁할때 포트폴리오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뒤쳐질 수 있다”며 “무엇보다 은행 영업창구에서 타 카드사 상품을 팔아줄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은행계열 카드사 관계자는 “은행 계열 카드사의 경우 체크카드 서비스가 특화돼 있지만 기업 계열 카드사는 은행과 연계된 특화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적어 체크카드 판매 활로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축소를 위해 체크카드의 소득공제 혜택을 강화하고 내년부터 체크카드 이용 실적을 신용도에 반영키로 하는 등 체크카드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크카드 시장도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체크카드 이용실적은 61조2천억원으로 전년 동기(50조2천억원)대비 11조원(22%) 증가했다.  체크카드 발급 수 역시 9천825만매로 3분기에 237만매 증가했다.

대기업 전업 카드사들의 '체크카드 앓이'가 지속되면서 체크카드가 카드업계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마이경제/소비자가 만드는 신문=김문수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