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010 번호통합' 소비자는 '뒷전'..통신3사 거짓말 '본색'
상태바
'010 번호통합' 소비자는 '뒷전'..통신3사 거짓말 '본색'
  • 이민재 기자 sto81@csnews.co.kr
  • 승인 2010.08.23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010번호통합’과 관련 소비자들의 편의를 내세워 통합과 유지로 갈등을 빚던 통신업체들이 소비자는 뒷전이고 잇속 챙기기에만 혈안이 돼 빈축을 사고 있다.

당초 정부는 3세대(3G) 이동통신 사용을 010 번호로 제한하며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가운데 010 번호 사용자 비율이 80%에 이르면 '01X'(010 이외의 번호)사용자의 번호를 010으로 강제 통합하겠다는 ‘010번호통합’정책을 추진했다.

방통위는 010번호 이용자가 전체 82%에 육박하면서 번호통합을 서두르고 나섰다.

그러나 900만 명에 달하는 01X 사용자들과 민간단체의 거센 반발에 발목이 잡혔다.

여기에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극명한 입장 차이로 인해 정책은 미궁에 빠졌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당초‘010번호통합’정책이 급물살을 타자 KT와 LGU+는 번호 정책의 일관성과 사용자들의 편의를 내세워 010 통합의 조속한 시행과 명확한 일정 제시를 요구하고 나섰다.

반면, SKT는 사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점진적인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에서 가장 많은 450여만 명에 달하는 01X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01X사용자가 가입자당매출(ARPU)이 평균보다 높고 011번호자체에 대한 애착이 크기 때문이다.

내외적으로 반발에 부딪히던 방통위는 ‘한시허용’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내놓았다.

2세대(2G)서비스를 중단하는 통신사에 한해 3년간 01X로 3G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새로운 대안이 마련되자 ‘010번호통합’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KT가 은근슬쩍 입장을 바꿨다. 010 통합을 안 하겠다는 방통위 방안에 찬성을 하고 나선 것.

여기에는 그럴 만한 속내가 있었다.

기존 정책안은 번호통합을 하지 않으면 2세대(2G)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는 상황이었지만, 새로운 방침은 번호 통합과 상관없이 3G 사용을 허용해 자연스럽게 2G사용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어차피 KT는 연말에 2G서비스용 주파수 절반을 반납하고, 향후 2G서비스를 중단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번호 통합이 안 된다한들 아무 상관이 없는 입장이다.

때문에 ‘2G서비스를 중단’하는 통신사에 한해 3년간 ‘010번호통합’을 유예해주겠다는 것은 사실상 KT를 위한 정책으로 보인다. 결국 2G 가입자를 많이 확보한 SKT를 겨냥해 번호통합을 주장했던 KT로서는 번호통합을 하지 않아도 3G만 할 수 있으면 그만이란 입장이다.

번호통합 대안이 KT쪽으로 유리하게 전개되자 010 통합을 반대하던 SKT는 통합을 하지 않겠다는 방통위 안에 오히려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KT와 연합해 SKT와 대립각을 세웠던 LGU+는 SKT쪽으로 돌아섰다.

결국 소비자들의 편의를 주장하며 번호의 통합 혹은 유지를 주장했던 기존의 주장은 새빨간 거짓말이었음을 스스로 실토한 셈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