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지난달 생필품 70% 가격 상승…서민가계 주름살
상태바
지난달 생필품 70% 가격 상승…서민가계 주름살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1.02.13 0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담합 조사·공공요금 동결등 정부의 고강도 물가 관리에도 불구하고 지난 달 생활필수품 10개 중 7개꼴로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원자재 가격이 많이 오른 곡물류와 설탕을 비롯해 고무장갑 등 생필품이 물가 상승세를 주도, 서민들의 가계를 압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사이트인 T-Gate에 따르면 정부가 소비자원을 통해 지난 1월 주요 생필품 80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70% 가까이가 올랐다.

 
조사대상 생필품 80개 품목 중 66.3%인 53개의 가격이 전월(2010년 12월)보다 올랐으며 24개(30.0%)는 내리고 2개(2.5%)는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10월 80개 생필품 품목 중 48개, 11월에 31개, 12월에 37개의 가격이 올랐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 1월 생필품 가격 상승세는 매우 가파른 셈이다.

  
이는 정부가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공공요금 동결, 담합 및 독과점 조사, 원가 및 유통구조 파악을 통해 물가 잡기에 총력을 벌이는 상황에서 나온 결과라, 정부의 고강도 물가 대책으로도 인플레 심리를 잡는 데 역부족임을 보여줬다.

  
지난 1월에 전월 대비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곡물류(12.1%)였으며 설탕(11.8%), 고무장갑(9.0%), 일반면도날(8.4%), 새우깡(8.3%), 두부(8.0%), 세탁 세제(7.8%), 마요네즈(6.3%), 분유.커피(5.4%)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식용유(-3.7%)와 녹차류(-2.7%), 어묵(-2.3%)은 가격이 내려 눈길을 끌었다.


한편 정부는 물가와의 전쟁을 일시적으로 끝내지 않고 장기전으로 끌고 간다는 방침을 세우고 물가 불안 심리가 극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 올해 1분기에 가능한 모든 대책을 쏟아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대학등록금 및 유치원비 등록금 동결에 이어 상반기에 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하기로 했으며, 각 부처 수장들이 주요 생필품 업체와 대기업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정부의 물가 안정 노력에 동참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할 계획이다.

  
나아가 업체간 담합 및 부당거래 행위 조사를 통해 부당이득을 강력 징수하고 생필품 유통 구조에 가격 거품이 끼어있지 않는지에 대한 전면 조사도 시행할 방침이다. 현재 정부는 휘발유 등 석유제품과 휴대전화 통신비, 돼지고기 등 이상 급등 품목에 대한 정밀 점검에 돌입한 상태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