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두바이유 가격 하락세, 국내 기름값에도 영향?
상태바
두바이유 가격 하락세, 국내 기름값에도 영향?
  • 류세나 기자 cream53@csnews.co.kr
  • 승인 2011.05.08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바이유의 국제 현물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국내 기름값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6일 거래된 두바이유 현물 거래가격이 전일보다 배럴당 13.92달러(12.16%) 떨어진 100.48달러를 기록하며 유례없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두바이유 현물가격은 지난 2월21일(100.36달러) 100달러를 넘고서는 고공행진을 계속해 지난달 28일에는 119.23달러까지 치솟았다가 이번 폭락으로 100달러에 다시 근접했다.

미국 고용지표의 예상밖 악화 소식에 따라 경기 회복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돼 국제 유가가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국제 석유제품 가격도 두바이유 현물가격의 하락세에 영향을 받았다.

싱가포르 현물시장에서 보통휘발유(옥탄가 92) 가격은 지난달 25일(130.29달러) 배럴당 130달러를 넘고서는 소폭 등락을 거듭했다.3일 배럴당 135.35달러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한 보통휘발유 가격은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두바이유의 폭락에 6일 배럴당 12.96달러(9.74%) 내린 120.02달러를 기록했다.

국내 제품가격에 영향을 주는 국제 석유제품 가격의 폭락으로 5월 들어 상승세로 돌아선 주유소 기름값도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

정유사들이 인하 방침(4월7일)을 발표한 이후 가격이 내려간 채 보합세를 한동안 유지한 주유소 기름 값은 최근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지난 4일 한 달 만에 1천950원대(1천950.59원)를 넘어선 이후 소폭 상승하고 있는 것.

국제 제품가격이 큰 폭으로 내림에 따라 주유소 기름값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자들이 당장 체감 효과를 느끼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정유사들은 국제 석유제품가격과 연동해 국내 공급가격을 정하고 있는데, 통상 정유사에서 조정된 공급가로 제품을 일선 주유소에 공급하면 주유소는 1~2주일 뒤에 이를 판매가격에 반영하기 때문.

따라서 두바이유 폭락 영향이 시장에 반영되는 시점부터 가격 반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